빛과 스펙트럼 (1 ~ 6)
빛은 스펙트럼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즉 가시 스펙트럼(380 nm 부터 780 nm 까지) 내의 각 파장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번호: 1
단순화된 진술
백색광은 우리가 색으로 지각하는 많은 파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화 정보
우리가 상이한 색을 볼 때, 사실은 파장이 다른 빛을 보고 있는 것이다. 짧은 파장은 보라색으로 보이고, 파장이 길어질수록 남색, 파란색, 녹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CIE. (2020). ILV: International Lighting Vocabulary. CIE Central Bureau.
Boyce, P. R. (2014). Human factors in lighting (3rd ed.).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하루나 일년에 걸쳐 개인이 빛에 노출되는 패턴은 매우 복잡하며, 그것은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하는지에 따라 다르다.
번호: 2
단순화된 진술
우리 주변의 빛의 양(우리가 노출되는 빛의 양)은 실내외 공간을 이동하거나 하루 중 또는 계절에 따라 변한다.
심화 정보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은 새벽부터 한낮이 되기까지 증가하고 저녁 때는 감소한다. 위치에 따라 하루 중 빛의 양은 여름과 겨울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인다.
참고문헌
Webler, F. S., Spitschan, M., Foster, R. G., Andersen, M., & Peirson, S. N. (2019). What is the ‘spectral diet’ of humans? Curr Opin Behav Sci, 30, 80-86.
빛 노출은 그것의 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관심 기능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380 nm 에서 780 nm 까지의 모든 파장에서 나온 총 에너지량이다.
번호: 3
단순화된 진술
우리는 상이한 파장의 빛이 얼마나 강한지를 평가함으로써 빛 노출을 측정할 수 있다.
심화 정보
우리는 광원의 각 파장이 방출하는 전력(power)을 표시함으로써 광원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력을 강도(intensity)라고 부른다. 물리학자들은 강도를 측정하는 반면, 생리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은 그 강도가 다양한 신체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참고문헌
CIE. (2014). CIE TN 002:2014: Relating photochemical and photobiological quantities to photometric quantities. CIE Central Bureau.
주광(daylight)은 우리가 광대역 스펙트럼이라고 부르는 것을 가지며, 이는 넓은 파장에 걸쳐 큰 에너지를 갖는다.
번호: 4
단순화된 진술
주광은 다수의 파장에 걸쳐 광범위한 에너지를 가진다. 그것은 무지개의 모든 색으로 분리될 수 있다.
심화 정보
주광은 직사광(sunlight)과 산란된 천공광(skylight)의 조합이며, 모든 가시 파장과 그 너머를 포함한다. 하루 중 시간대와 기상 조건의 변화는 파장 구성에서 변이를 가져온다. 그러한 변이는 눈에 보이는 주광의 색을 변화시킨다.
참고문헌
Boyce, P. R. (2014). Human factors in lighting (3rd ed.).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상이한 전기 광원(예, LED 또는 형광램프, 기타)은 서로 다른 스펙트럼을 가진다.
번호: 5
단순화된 진술
상이한 광원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빛을 생성하며, 이는 뚜렷히 구분되는 파장 또는 색을 만들어 낸다.
심화 정보
상이한 광원 기술은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전기를 빛으로 변환한다. 상이한 소재로 인해 빛의 강도는 파장에 따라 다르게 분포한다. 이러한 파장에 따른 빛의 분포를 분광 분포라고 한다.
참고문헌
Pattison, P. M., Tsao, J. Y., Brainard, G. C., & Bugbee, B. (2018). LEDs for photons, physiology and food. Nature, 563(7732), 493-500.
DiLaura, D. L., Houser, K. W., Mistrick, R. G., & Steffy, G. R. (2011). The lighting handbook.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of North America.
주광 특성(스펙트럼, 강도, 분광 분포)은 하루 중이나 연중 시간, 그리고 날씨의 변화와 함께 달라진다.
번호: 6
단순화된 진술
주광의 색, 강도, 패턴은 하루 중 시간, 계절, 날씨와 함께 변한다.
심화 정보
햇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청색광은 다른 파장들보다 더 많이 산란된다. 이것이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다.
참고문헌
DiLaura, D. L., Houser, K. W., Mistrick, R. G., & Steffy, G. R. (2011). The lighting handbook.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of North America.
Lynch, D. K., & Livingston, W. (2001). Color and light in nature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Woelders, T., Wams, E. J., Gordijn, M. C. M., Beersma, D. G. M., & Hut, R. A. (2018). Integration of color and intensity increases time signal stability for the human circadian system when sunlight is obscured by clouds. Sci Rep, 8(1), 15214. https://doi.org/10.1038/s41598-018-33606-5
Spitschan, M., Aguirre, G. K., Brainard, D. H., & Sweeney, A. M. (2016). Variation of outdoor illumination as a function of solar elevation and light pollution. Sci Rep, 6, 26756. https://doi.org/10.1038/srep26756
인간의 광수용기 (7 ~ 9)
인간의 눈에는 망막이 있고, 망막에는 상이한 파장에 대해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몇 가지 감광 세포가 존재한다.
번호: 7
단순화된 진술
눈의 망막에는 우리가 서로 다른 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세포들이 있다.
심화 정보
인간의 눈에 있는 망막은 빛을 뇌로 가는 신호로 변환하는 감광 세포들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추상체, 간상체, 감광 신경절 세포(ipRGC)로 불린다.
참고문헌
Lucas, R. J., Peirson, S. N., Berson, D. M., Brown, T. M., Cooper, H. M., Czeisler, C. A., Figueiro, M. G., Gamlin, P. D., Lockley, S. W., O’Hagan, J. B., Price, L. L., Provencio, I., Skene, D. J., & Brainard, G. C. (2014). Measuring and using light in the melanopsin age. Trends Neurosci, 37(1), 1-9.
Kolb, H. (2005). Photoreceptors. In H. Kolb, E. Fernandez, B. Jones, & R. Nelson (Eds.), Webvision: The Organization of the Retina and Visual System. https://www.ncbi.nlm.nih.gov/pubmed/21413389
추상체는 우리가 밝은 조명조건에서 색, 운동, 공간적 세부사항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번호: 8
단순화된 진술
추상체는 우리가 밝은 빛에서 색, 움직임, 대상을 보도록 도와준다.
심화 정보
추상체는 망막에 있는 특수한 세포이다. 그 모양을 따서 이름을 붙인 것이다(현미경으로 보면 그렇게 보인다). 추상체가 가장 밀집한 곳은 중심와(망막 중심에 있는)이다.
참고문헌
Stockman, A. (2019). Cone fundamentals and CIE standards. Current Opinion in Behavioral Sciences, 30, 87-93.
Brainard, D. H. (2019). Color, pattern, and the retinal cone mosaic. Curr Opin Behav Sci, 30, 41-47.
간상체는 우리가 희미한 빛에서도 기본적인 공간 세부사항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번호: 9
단순화된 진술
간상체는 희미한 빛에서 우리가 형태나 세부사항을 보도록 도와준다.
심화 정보
간상체는 낮은 수준의 빛에 매우 민감하다. 그것은 야간시에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Fu, Y. (2018). Phototransduction in rods and cones. In H. Kolb, E. Fernandez, B. Jones, & R. Nelson (Eds.), Webvision: The Organization of the Retina and Visual System.
Kolb, H. (2009). Circuitry for rod signals through the retina. In H. Kolb, E. Fernandez, B. Jones, & R. Nelson (Eds.), Webvision: The Organization of the Retina and Visual System.
빛의 비시각적 효과 (10 ~ 20)
감광 신경절 세포는 빛을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는 많은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번호: 10
단순화된 진술
감광 신경절 세포가 빛을 탐지하면 뇌로 신호를 보내 다양한 신체 기능을 조절한다.
심화 정보
감광 신경절 세포는 뇌 영역으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고, 그것은 수면-기상 주기, 각성, 기분을 조절한다.
참고문헌
Lucas, R. J., Peirson, S. N., Berson, D. M., Brown, T. M., Cooper, H. M., Czeisler, C. A., Figueiro, M. G., Gamlin, P. D., Lockley, S. W., O’Hagan, J. B., Price, L. L., Provencio, I., Skene, D. J., & Brainard, G. C. (2014). Measuring and using light in the melanopsin age. Trends Neurosci, 37(1), 1-9.
Spitschan, M. (2019). Melanopsin contributions to non-visual and visual function. Curr Opin Behav Sci, 30, 67-72.
Lucas, R. J., Lall, G. S., Allen, A. E., & Brown, T. M. (2012). How rod, cone, and melanopsin photoreceptors come together to enlighten the mammalian circadian clock. Prog Brain Res, 199, 1-18. https://doi.org/10.1016/B978-0-444-59427-3.00001-0
감광 신경절 세포를 거친 대부분의 빛은 저녁과 야간에 멜라토닌 생성의 억제를 야기한다.
번호: 11
단순화된 진술
빛은 멜라토닌(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생성을 차단하는데, 특히 저녁과 야간에 그렇다.
심화 정보
감광 신경절 세포는 멜라놉신(감광 단백질)이 나오게 한다. 감광 신경절 세포가 밝은 빛을 감지하면 멜라놉신이 활성화된다. 이러한 활성화는 신경 경로를 촉발하여 송과선에서의 멜라토닌 생성을 차단한다.
참고문헌
Brown, T. M. (2020). Melanopic illuminance defines the magnitude of human circadian light responses under a wide range of conditions. J Pineal Res, 69(1), e12655.
Prayag, A. S., Najjar, R. P., & Gronfier, C. (2019). Melatonin suppression is exquisitely sensitive to light and primarily driven by melanopsin in humans. J Pineal Res, 66(4), e12562.
Giménez MC, Stefani O, Cajochen C, Lang D, Deuring G, Schlangen LJM. Predicting melatonin suppression by light in humans: Unifying photoreceptor-based equivalent daylight illuminances, spectral composition, timing and duration of light exposure. J Pineal Res. 2022; 72:e12786.
빛은 일주기 체계가 자연 환경속에서 24시간 주기로 동기화되게 하는 주된 신호이다.
번호: 12
단순화된 진술
빛은 신체 내부 시계를 태양의 낮-밤 주기와 동기화시키는 일차적인 신호이다.
심화 정보
빛은 신체 내부 리듬을 조절하도록 도와준다. 이는 생물학적 과정들이 적절한 시간에 시작하고 중단하도록 해준다.
참고문헌
Blume, C., Garbazza, C., & Spitschan, M. (2019). Effects of light on human circadian rhythms, sleep and mood. Somnologie (Berl), 23(3), 147-156. https://doi.org/10.1007/s11818-019-00215-x
Duffy, J. F., & Czeisler, C. A. (2009). Effect of light on human circadian physiology. Sleep Med Clin, 4(2), 165-177.
Wright, K. P., Jr., McHill, A. W., Birks, B. R., Griffin, B. R., Rusterholz, T., & Chinoy, E. D. (2013). Entrainment of the human circadian clock to the natural light-dark cycle. Curr Biol, 23(16), 1554-1558. https://doi.org/10.1016/j.cub.2013.06.039
빛은 뇌의 생체 시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수면-각성 주기와 함께 다른 매일의 생리적 리듬을 조절한다.
번호: 13
단순화된 진술
빛은 신체 내부 시계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은 수면-각성 패턴과 함께 다른 매일의 리듬을 조절한다.
심화 정보
빛 노출은 수면, 호르몬 분비, 신진대사, 및 각성에 영향을 미친다.
참고문헌
Blume, C., Garbazza, C., & Spitschan, M. (2019). Effects of light on human circadian rhythms, sleep and mood. Somnologie (Berl), 23(3), 147-156. https://doi.org/10.1007/s11818-019-00215-x
Duffy, J. F., & Czeisler, C. A. (2009). Effect of light on human circadian physiology. Sleep Med Clin, 4(2), 165-177.
아침의 빛은 일주기 시계를 앞당기고 저녁의 빛은 늦출 수 있다.
번호: 14
단순화된 진술
아침의 빛은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앞당기는 반면, 저녁의 빛은 그것들을 지연시킬 수 있다.
심화 정보
빛은 뇌를 활성화시킨다. 아침의 빛은 신체 내부 시계를 앞당기고(더 이른 시간으로 맞추고), 저녁의 빛은 그것을 늦춘다(더 늦은 시간으로 맞춘다).
참고문헌
Khalsa, S. B., Jewett, M. E., Cajochen, C., & Czeisler, C. A. (2003). A phase response curve to single bright light pulses in human subjects. J Physiol, 549(Pt 3), 945-952.
St Hilaire, M. A., Gooley, J. J., Khalsa, S. B., Kronauer, R. E., Czeisler, C. A., & Lockley, S. W. (2012). Human phase response curve to a 1 h pulse of bright white light. J Physiol, 590(13), 3035-3045.
빛이 어떤 조건에서는 각성 수준과 인지 기능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번호: 15
단순화된 진술
특정 상황에서 빛은 각성 수준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심화 정보
어떤 조건에서는 주야간에 높은 강도의 빛에 노출되는 것이 각성을 촉진하고 인지적 수행을 향상시킨다.
참고문헌
Cajochen, C., Zeitzer, J. M., Czeisler, C. A., & Dijk, D. J. (2000). Dose-response relationship for light intensity and ocular and electroencephalographic correlates of human alertness. Behav Brain Res, 115(1), 75-83. https://doi.org/10.1016/s0166-4328(00)00236-9
Lok, R., Joyce, D. S., & Zeitzer, J. M. (2022). Impact of daytime spectral tuning on cognitive function. J Photochem Photobiol B, 230, 112439.
Lok, R., Smolders, K., Beersma, D. G. M., & de Kort, Y. A. W. (2018). Light, alertness, and alerting effects of white light: a literature overview. J Biol Rhythms, 33(6), 589-601.
빛에 대한 이런 생리적 반응을 결정하는 것은 주로 특정 시점에 얼마나 많은 빛이 망막에 도달하여 감광 신경절 세포를 자극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번호: 16
단순화된 진술
빛에 대한 신체의 반응은 얼마나 많은 빛이 언제 망막의 감광 신경절 세포에 도달하느냐에 달려있다.
심화 정보
감광 신경절 세포의 반응은 하루 중 시간과 일주기 요인들에 의해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CIE. (2018). CIE S 026/E:2018: CIE system for metrology of optical Radiation for ipRGC-influenced responses to light. Central Bureau. https://doi.org/10.25039/s026.2018
Gimenez, M. C., Stefani, O., Cajochen, C., Lang, D., Deuring, G., & Schlangen, L. J. M. (2022). Predicting melatonin suppression by light in humans: Unifying photoreceptor-based equivalent daylight illuminances, spectral composition, timing and duration of light exposure. J Pineal Res, 72(2), e12786. https://doi.org/10.1111/jpi.12786
Schlangen, L. J. M., & Price, L. L. A. (2021). The lighting environment, its metrology, and non-visual responses. Front Neurol, 12, 624861.
Schollhorn, I., Stefani, O., Lucas, R. J., Spitschan, M., Epple, C., & Cajochen, C. (2024). The impact of pupil constr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lanopic EDI and melatonin suppression in young adult males. J Biol Rhythms, 39(3), 282-294.
저녁 때의 높은 빛 수준은 잠 드는 데 필요한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번호: 17
단순화된 진술
저녁 때의 빛 노출은 잠드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심화 정보
저녁 때의 빛 노출은 우리 몸에게 아직 낮 시간임을 알려준다. 그것은 각성을 증가시키고 내부 시계를 더 늦은 시간으로 맞춘다.
참고문헌
Cain, S. W., McGlashan, E. M., Vidafar, P., Mustafovska, J., Curran, S. P. N., Wang, X., Mohamed, A., Kalavally, V., & Phillips, A. J. K. (2020). Evening home lighting adversely impacts the circadian system and sleep. Sci Rep, 10(1), 19110.
Cajochen, C., Stefani, O., Schöllhorn, I., Lang, D., & Chellappa, S. L. (2022). Influence of evening light exposure on polysomnographically assessed night-time sleep: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Lighting Research & Technology, 54(6), 609-624.
Schollhorn, I., Stefani, O., Lucas, R. J., Spitschan, M., Slawik, H. C., & Cajochen, C. (2023). Melanopic irradiance defines the impact of evening display light on sleep latency, melatonin and alertness. Commun Biol, 6(1), 228.
Stefani, O., Freyburger, M., Veitz, S., Basishvili, T., Meyer, M., Weibel, J., Kobayashi, K., Shirakawa, Y., & Cajochen, C. (2021). Changing color and intensity of LED lighting across the day impacts on circadian melatonin rhythms and sleep in healthy men. J Pineal Res, 70(3), e12714. https://doi.org/10.1111/jpi.12714
낮 시간 동안의 높은 빛 수준은 기분을 좋게 할 수 있다.
번호: 18
단순화된 진술
낮 동안의 밝은 빛은 기분을 좋게 할 수 있다.
심화 정보
자연 주광(태양)이나 높은 강도의 전기적 빛에 눈부심 없이 노출되면 스트레스를 줄이고 정서적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Burns, A. C., Saxena, R., Vetter, C., Phillips, A. J. K., Lane, J. M., & Cain, S. W. (2021). Time spent in outdoor light is associated with mood, sleep, and circadian rhythm-related outcomes: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in over 400,000 UK Biobank participants. J Affect Disord, 295, 347-352.
Maruani, J., & Geoffroy, P. A. (2019). Bright light as a personalized precision treatment of mood disorders. Front Psychiatry, 10, 85.
낮 시간 동안의 높은 빛 수준은 그날 밤에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번호: 19
단순화된 진술
낮 동안에 좀 더 강한 빛에 노출되면 수면이 개선될 수 있다.
심화 정보
높은 주간 빛 수준에 노출되면, 수면 분절(밤에 계속 깨는 것)은 줄어들고 깊은 잠은 늘어난다.
참고문헌
Cajochen, C., Reichert, C., Maire, M., Schlangen, L. J. M., Schmidt, C., Viola, A. U., & Gabel, V. (2019). Evidence that homeostatic sleep regulation depends on ambient lighting conditions during wakefulness. Clocks Sleep, 1(4), 517-531.
Lok, R., Woelders, T., Gordijn, M. C. M., van Koningsveld, M. J., Oberman, K., Fuhler, S. G., Beersma, D. G. M., & Hut, R. A. (2022). Bright light during wakefulness improves sleep quality in healthy men: a forced desynchrony study under dim and bright light (III). J Biol Rhythms, 37(4), 429-441.
Wams, E. J., Woelders, T., Marring, I., van Rosmalen, L., Beersma, D. G. M., Gordijn, M. C. M., & Hut, R. A. (2017). Linking light exposure and subsequent sleep: a field polysomnography study in humans. Sleep, 40(12).
밝은 빛에 대한 의학적 처방 절차에 따라 아침에 빛에 노출되는 것은 특정 임상적 진단을 받은 사람들의 기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번호: 20
단순화된 진술
의사들은 겨울철 우울증이나 다른 건강 상태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빛 치료를 처방하기도 한다.
심화 정보
밝은 빛에 대한 노출은 계절성 정서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우울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Meesters, Y., & Gordijn, M. C. (2016). Seasonal affective disorder, winter type: current insights and treatment options. Psychol Res Behav Manag, 9, 317-327.
Terman, M., Terman, J. S., Quitkin, F. M., McGrath, P. J., Stewart, J. W., & Rafferty, B. (1989). Light therapy for seasonal affective disorder. A review of efficacy. Neuropsychopharmacology, 2(1), 1-22.
빛의 비시각적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21 ~ 23)
건강한 일상적 빛 노출 패턴은 매일 일정한 주기를 가진 밝은 빛과 어두움으로 이루어져 있다.
번호: 21
단순화된 진술
건강한 일상의 반복은 주간의 밝은 빛과 야간의 어두움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화 정보
주간의 밝은 빛과 야간의 어두움으로 이루어진 규칙적인 패턴을 유지하는 것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관련된다.
참고문헌
Brown, T. M., Brainard, G. C., Cajochen, C., Czeisler, C. A., Hanifin, J. P., Lockley, S. W., Lucas, R. J., Munch, M., O’Hagan, J. B., Peirson, S. N., Price, L. L. A., Roenneberg, T., Schlangen, L. J. M., Skene, D. J., Spitschan, M., Vetter, C., Zee, P. C., & Wright, K. P., Jr. (2022). Recommendations for daytime, evening, and nighttime indoor light exposure to best support physiology, sleep, and wakefulness in healthy adults. PLoS Biol, 20(3), e3001571.
Burns, A. C., Windred, D. P., Rutter, M. K., Olivier, P., Vetter, C., Saxena, R., Lane, J. M., Phillips, A. J. K., & Cain, S. W. (2023). Day and night light exposure are associated with psychiatric disorders: an objective light study in >85,000 people. Nature Mental Health, 1(11), 853-862.
Windred, D. P., Burns, A. C., Lane, J. M., Olivier, P., Rutter, M. K., Saxena, R., Phillips, A. J. K., & Cain, S. W. (2024). Brighter nights and darker days predict higher mortality risk: A prospective analysis of personal light exposure in >88,000 individuals. Proc Natl Acad Sci U S A, 121(43), e2405924121. Windred, D. P., Burns, A. C., Rutter, M. K., Ching Yeung, C. H., Lane, J. M., Xiao, Q., Saxena, R., Cain, S. W., & Phillips, A. J. K. (2024). Personal light exposure patterns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nalysis of 13 million hours of light sensor data and 670,000 person-years of prospective observation. Lancet Reg Health Eur, 42, 100943.
노화로 인해 망막에 도달하는 빛이 감소하므로, 나이는 빛이 인간에게 미치는 생리적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번호: 22
단순화된 진술
나이가 들면서 눈의 수정체는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고, 이는 내부 시계와 수면에 미치는 빛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심화 정보
나이가 들면서 눈의 수정체는 투명도가 떨어지고, 이는 빛 노출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Chellappa, S. L., Bromundt, V., Frey, S., & Cajochen, C. (2021). Age-related neuroendocrine and alerting responses to light. Geroscience, 43(4), 1767-1781.
Gimenez, M. C., Kanis, M. J., Beersma, D. G., van der Pol, B. A., van Norren, D., & Gordijn, M. C. (2010). In vivo quantification of the retinal reflectance spectral composition in elderly subjects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Implications for the non-visual effects of light. J Biol Rhythms, 25(2), 123-131.
Mellerio, J. (1987). Yellowing of the human lens: nuclear and cortical contributions. Vision Res. 27(9), 1581-1587. https://doi.org/10.1016/0042-6989(87)90166-0
Najjar, R. P., Chiquet, C., Teikari, P., Cornut, P. L., Claustrat, B., Denis, P., Cooper, H. M., & Gronfier, C. (2014). Aging of non-visual spectral sensitivity to light in humans: compensatory mechanisms? PLoS One, 9(1), e85837.
빛에 대한 생리적 반응에는 뚜렷한 개인차가 있다.
번호: 23
단순화된 진술
사람들이 빛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는 크게 다를 수 있다.
심화 정보
광 민감성에서의 개인차는 나이, 유전, 행동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참고문헌
Chellappa, S. L. (2021). Individual differences in light sensitivity affect sleep and circadian rhythms. Sleep, 44(2).
Phillips, A. J. K., Vidafar, P., Burns, A. C., McGlashan, E. M., Anderson, C., Rajaratnam, S. M. W., Lockley, S. W., & Cain, S. W. (2019). High sensitivity and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n the response of the human circadian system to evening light. Proc Natl Acad Sci U S A, 116(24), 12019-12024.
빛의 비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24 ~ 26)
빛에 대한 생리적 효과에 관한 대다수의 연구는 실험실에서 이루어졌다.
번호: 24
단순화된 진술
신체에 대한 빛의 효과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실험실에서 수행되었다.
심화 정보
실생활에서 빛에 노출되는 것에 대하여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Spitschan, M., & Joyce, D. S. (2023). Human-Centric Lighting Research and Policy in the Melanopsin Age. Policy Insights Behav Brain Sci, 10(2), 237-246.
광범위한 연구 모집단을 대상으로 빛의 생리적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번호: 25
단순화된 진술
빛이 상이한 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심화 정보
빛의 생리적 효과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제한된 모집단(특정 연령집단, 민족, 건강 상태)에 촛점을 맞추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더 넓은 지역과 다양한 모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Johnson, D. A., Wallace, D. A., & Ward, L. (2024). Racial/ethnic and sex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light at night and actigraphy-measured sleep duration in adults: NHANES 2011-2014. Sleep Health, 10(1S), S184-S190.
Spitschan, M., & Santhi, N. (2022). Individual differences and diversity in human physiological responses to light. EBioMedicine, 75, 103640.
빛의 생리적 효과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번호: 26
단순화된 진술
과학자들은 빛이 신체 기능과 전반적인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속 탐구하고 있다.
심화 정보
빛이 생체 리듬, 수면, 각성, 기분, 건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과학계와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술과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연구자들은 상이한 파장과 강도에 대하여 좀 더 정밀하게 연구할 수 있다.
참고문헌
CIE. (2024). CIE PS 001:2024 CIE Position Statement on Integrative Lighting – Recommending Proper Light at the Proper Time, 3rd Edition. CIE Central Bureau.